본문 바로가기

♣ 향기나는방/글향기

반론에 대처하는 조선왕들의 스타일 -

반론에 대처하는 조선 왕들의 스타일

조선의 국왕들은 빠짐없이 불교 문제로 신하들과 언쟁을 벌였다.
이 기록들을 모아 보면 저마다 개성이 잘 드러난다.

훌륭한 무장(武將)이기는 했지만 학문은 부족했던 태조,
문자를 써 가며 척불론을 주장하는 젊은 문신(文臣)에게
아주 간결하게 그러나 효과적으로 대응한다.
"이색(고려 말의 유학자)도 불교를 믿었다. 네가 이색보다 잘났느냐."

순진하고 우직했던 정종,
"불교의 원리는 자비인데, 자비가 나쁜 것은 아니지 않느냐.
귀신이 허망한 것이라고 하지만 그래도 효험은 있다.
내가 전에 부처에게 기도하던 사람이 신들리는 것을 봤다."
이런 식의 초보적인 논리를 펴다가 문신에게 깨진다.

술수를 좋아했던 태종,
절묘한 핑계를 대며 빠져나간다.
"나도 불교가 허망한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지금 중국이 불교를 신봉하고 있으니,
우리가 아주 탄압할 수는 없다."

터프가이를 지향했던 세조,
신하가 부처를 비난하자
"칼을 가져와라, 내 저놈을 죽여 부처에게 사죄하겠다."

세종은 어떻게 했을까?
그는 그 학구적인 자세와 논리로 사람을 복잡하게 하고,
대답할 수 없는 질문을 던져 입을 막는다.
"석가의 설교는 진위를 알 수 없는 것인데,
역대의 호걸스러운 임금들이 지금까지
불교를 다 없애지 못한 까닭은 무엇인가?
마음을 깨끗이 하고 탐욕을 적게 내는 것을
도로 삼는다는 것은 도와 비슷한 소리지만
바른 도는 배우지 않고 그른 도를 근본으로 내세우는 것은 옳지 않다.
그 교리란 이치에 가까운 듯하면서도
진리를 크게 어지럽히는 것이다."

불교를 공격하는 말 같지만 사실은
불교를 공격하려면 이런 수준에서 연구를 하여 공격하라는 말이다.
그러나 이 정도로 연구해서 답하려면,
유학 공부를 그만두고 불교학자가 되어야 할 것이다.

정사를 보는 자리에서 세종은 대신과 관료를 존중하여
독단으로 결정하는 법이 없고,
늘 이들에게 논의를 시키고 의견을 물었다.
하지만 절대로 그냥 물어보는 법은 없었다.
그는 하나의 안건이 있으면, 여기에 관해서는
이 책에 이런 제도와 이런 제도가 있고, 이렇게 하면 이런 문제가 생기고
저렇게 하면 어느 책의 어떤 원리와 배치되고,
뭐는 현실적으로 이런 폐단이 있고... 하여간 이런 내용을
쭉 써서 주어놓고 의논에 붙였으며,
사소한 이야기를 해도 논리적 근거를 꼬박꼬박 붙였다.

세종은 아무리 작은 일이라도 대강 넘어가는 일이 없었다.
하다못해 군사들의 훈련용 나무화살을 만들어도 규격을 가지고 고민을 했고,
활쏘기 연습용 과녁을 무엇으로 만드느냐는 데도 간여를 했다.
한 번은 고정과녁보다 이동표적을 쏘는 훈련 방안이 논의된 모양인데,
세종이 나서서 털실을 감은 공이 제일 좋다고 낙찰을 보았다.

이럴 때 어설프게 안건을 올리거나 적당히 뭐가 좋다고 말했다가는
세종의 질문 세례를 뒤집어써야 했다.
예를 들어 누가 털실공은 보관하기 어렵고 쉬 헤지니
대신 가죽공을 쓰자고 건의했다면 세종은 이런 식으로 되물었을 것이다.
"털실공은 몇 번 쓸 수 있으며 가죽공은 몇 번 쓸 수 있는가?
가죽공을 쓰면 털실공으로는 훈련이 곤란한 새로운 효과가 있는가?
가죽공이라면 무슨 가죽을 사용해야 하는가?
그 가죽을 조달하는 방법은 무엇이며 비용은 얼마인가?
털실공을 만드는 데 들어가는 시간과
가죽공을 만드는 데 들어가는 시간과 인력이 어떻게 다른가?
쓰지 않고 버리는 다른 가죽을 이용할 수 있는가?
가죽공들 사이의 품질 차이는 없는가?
이상의 내용을 각각의 공을 만들어 실험해 보고 결과를 보고하라.
아울러 이 참에 털실과 가죽 외에
다른 사용 가능한 좋은 재료는 없는지 널리 물어서 조사해 보라."

우리 사회는 능률과 실질을 너무 숭상한 나머지
이론적인 탐구를 낭비적이고 현학적인 놀음이라고 간주해 버리는 풍조가
너무 짙게 배어 있다.
1년을 연구하고 내린 결론과 5분 동안 생각하고 내린 결론이 같다면
5분만에 결론을 내린 사람을 훌륭하고 똑똑한 사람이라고 여긴다.

하지만 이론과 근원을 상고하고 전체를 조망한 후에
법규를 정하는 것과 그냥 자신의 분석과 판단으로 정하는 방식 사이에는
장기적으로 보면 큰 차이가 있다.
사회는 늘 변하므로 모든 제도는 운영의 묘가 중요한데
제도의 지향과 근원, 짜임새를 모르면,
다가오는 문제를 미리 예측할 수 없고
본래의 지향을 지켜 가면서 새로운 사태에 대응할 수 없다.
그러니 되는대로 부수고 새로 짓거나,
규정이니 관례니 하면서 무조건 그대로 끌고가거나 하게 되는 것이다.

이 폐단은 과거의 예를 들 것도 없다.
현재의 한국 사회가 뼈저리게 겪고 있기 때문이다.
이론과 분석, 장기적인 전망, 이런 것은 빼놓은 채
'하면 된다' '할 수 있다'를 더 좋아한 결과이다.

이상하고도 이상한 것이,
매일 사용하는 녹색 지폐에서 세종의 얼굴을 보고
세종을 떠받드는 사람이 그렇게 많은데,
세종의 진짜 장점, 그가 평생을 바친 노력은
우리의 뇌리에서 실종되어 있다는 사실이다.



: 임용한 '조선 국왕 이야기 1' 중에서 일부 발췌